무기한 선물 계약에서 계약 1의 청산 가격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
정의:
WB: 지갑 잔고
TMM1: 계약 1을 제외한 다른 모든 계약의 유지 마진
UPNL1: 계약 1을 제외한 다른 모든 계약의 미실현 PNL
cumB: BOTH 포지션의 유지 금액 (단방향 모드)
cumL: LONG 포지션의 유지 금액 (헤지 모드)
cumS: SHORT 포지션의 유지 금액 (헤지 모드)
Side1BOTH: BOTH 포지션의 방향, 1은 롱 포지션, -1은 숏 포지션
Position1BOTH: BOTH 포지션 크기의 절대값 (단방향 모드)
EP1BOTH: BOTH 포지션의 진입 가격 (단방향 모드)
Position1LONG: LONG 포지션 크기의 절대값 (헤지 모드)
EP1LONG: LONG 포지션의 진입 가격 (헤지 모드)
Position1SHORT: SHORT 포지션 크기의 절대값 (헤지 모드)
EP1SHORT: SHORT 포지션의 진입 가격 (헤지 모드)
MMR B: BOTH 포지션의 유지 마진 비율 (단방향 모드)
MMR L: LONG 포지션의 유지 마진 비율 (헤지 모드)
MMR S: SHORT 포지션의 유지 마진 비율 (헤지 모드)
단방향 포지션 모드:
교차 마진 모드에서,
- Position1LONG과 Position1SHORT은 모두 0입니다.
- 격리 마진 모드에서 TMM 계산 시 해당 포지션의 유지 마진은 제외됩니다.
- 격리 마진 모드에서 UPNL 계산 시 해당 포지션의 미실현 PNL은 제외됩니다.
- WB는 교차 지갑 잔고를 나타냅니다.
격리 마진 모드에서,
- Position1LONG과 Position1SHORT은 모두 0입니다.
- TMM = 0
- UPNL = 0
- WB는 격리 지갑 잔고를 나타냅니다.
헤지 포지션 모드:
교차 마진 모드에서,
- Position1BOTH = 0
- 격리 마진 모드에서 TMM 계산 시 해당 포지션의 유지 마진은 제외됩니다.
- 격리 마진 모드에서 UPNL 계산 시 해당 포지션의 미실현 PNL은 제외됩니다.
- WB는 교차 지갑 잔고를 나타냅니다.
격리 마진 모드에서,
- Position1BOTH = 0
- 오픈 롱 포지션을 계산하는 경우 Position1SHORT = 0이며, 오픈 숏 포지션을 계산하는 경우 Position1SHORT = 0입니다.
- TMM = 0
- UPNL = 0
- WB는 격리 지갑 잔고를 나타냅니다.
참고:
- 교차 마진 모드에서는 한 계약의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 모두 동일한 청산 가격을 공유합니다. 격리 마진 모드에서는 각 격리 포지션의 청산 가격이 다릅니다.
- 청산 가격이 0보다 작으면 “--”으로 표시됩니다.
유지 마진 비율 및 유지 금액
- 유지 마진 비율
사용자는 아래 표를 참조하여 포지션 가치와 "유지 마진 비율"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참고: 귀하의 포지션(청산 가격으로 계산)과 현재 포지션(시작 가격으로 계산)이 다른 레벨인 경우, 청산 가격을 다시 계산하기 위해 유지 마진 비율과 포지션 레벨의 유지 마진 금액을 대체(즉, 청산 가격으로 계산)해야 됩니다. - 유지 금액
사용자는 아래 표를 참조하여 포지션 가치와 "유지 금액"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유지 금액 공식= [ 레벨 n에서 포지션 브라켓 하한 * (레벨 n의 유지 마진 비율과 레벨 n-1의 유지 마진 비율의 차) ] + 레벨 n-1의 유지 금액
유지 마진 = 명목 가치 * 유지 마진 비율 - 유지 금액
명목 가치 = 가격 * 크기
*면책 조항: 이 게시물 내 숫자는 추가 공지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